저는 예전에 지출 데이터를 천원 단위로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있었습니다. 그때 어떤 함수로 반올림을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쉽게 다룰 수 있는지 고민하다가, ROUND와 MROUND 두 가지 방식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제 경험에서 얻은 실질적인 방법과 팁을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

ROUND 함수를 이용한 천원 단위 반올림

ROUND 함수는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기준으로 반올림합니다. 천원 단위로 반올림하려면 음수의 num_digits를 사용해 숫자의 왼쪽 자릿수를 기준으로 반올림합니다.

주요 포인트:

  • 예시 1: 셀 A1에 12,345가 입력되어 있을 때 =ROUND(A1, -3)의 결과는 10000입니다.
  • 예시 2: 셀 A1에 15,678이 입력되어 있을 때 =ROUND(A1, -3)의 결과는 20000입니다.
  • 예시 3: 셀 A1에 12,345가 입력되어 있을 때 =ROUND(A1, -2)의 결과는 12300입니다.
  • 예시 4: 셀 A1에 12,500이 입력되어 있을 때 =ROUND(A1, -2)의 결과는 12500입니다.

MROUND 함수를 이용한 방법

MROUND 함수는 숫자를 지정된 배수로 반올림합니다. 천원 단위 반올림에는 이 함수가 직관적이고 강력합니다.

기본 구문:

=MROUND(number, multiple)

주요 포인트:

  • 가장 가까운 천 원으로 반올림: =MROUND(A1, 1000)
  • 예시:
    • A1에 12,345가 입력되어 있을 때: =MROUND(A1, 1000)의 결과는 12000.
    • A1에 12,500가 입력되어 있을 때: =MROUND(A1, 1000)의 결과는 13000.
    • A1에 12,789가 입력되어 있을 때: =MROUND(A1, 1000)의 결과는 13000.
  • 만 원 단위로 반올림: =MROUND(A1, 10000)
    • A1에 12,345가 입력되어 있을 때의 결과는 10000.
    • A1에 17,678이 입력되어 있을 때의 결과는 20000.

어떤 함수를 선택해야 할까?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은 천원 단위 반올림에 대해 가장 가까운 값을 구하는 것이 목표라면 MROUN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특정 소수점 자릿수 기준으로 반올림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면 ROUND를 활용하는 편이 더 유연합니다. 필요 시 두 기능을 상황에 맞게 조합해도 무방합니다.

실전 활용 팁

실무에서 자주 맞닥뜨리는 상황에 맞춰 간단히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데이터가 음수인 경우에도 ROUND와 MROUND는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다만 음수의 경우 반올림 방향에 주의해 해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천원 단위가 아닌 다른 배수로 반올림해야 할 때는 MROUND의 두 번째 인수만 바꾸면 됩니다(예: 5000, 10000 등).
  • 결과를 표시할 셀 형식이 숫자 형식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표시 형식(세 자리 구분 기호 등)을 적용하면 가독성이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