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최근 팀 프로젝트에서 한글 파일들을 하나로 합치는 일을 맡아 온라인 도구를 직접 사용해 보았습니다. 初始에는 파일이 많아 번거롭고 서식이 복잡해 보였지만,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며 어떤 상황에서 어떤 도구가 더 안전하고 편리한지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간단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PDF 변환 후 합치기

가장 일반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은 먼저 한글 파일을 PDF로 변환한 뒤, 변환된 PDF를 합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서식이 유지되거나 손실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글 파일을 PDF로 변환하는 방법
    • 한컴오피스 한글 자체 기능으로 PDF 저장: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내보내기에서 PD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온라인 변환 사이트(HWP to PDF)
      Smallpdf의 HWP to PDF를 이용해 변환해 보았습니다.
    • 온라인 변환 사이트(HWP to PDF)
      iLovePDF의 HWP to PDF를 사용해 변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PDF 합치기 도구
  • 단점

    변환 과정에서 서식이 약간 달라지거나 맞춤 서식이 깨질 수 있어, 합친 후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텍스트 복사 & 붙여넣기

간단한 경우에는 각 한글 파일의 내용을 새 문서에 복사해 붙여넣는 방법도 있습니다. 변환 없이 바로 합치는 점이 장점이지만, 서식이 많이 깨지거나 수작업으로 서식을 다시 맞춰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장점: 별도 변환 과정 없이 바로 합치기가 가능하며, 간단한 문서일 때 편리합니다.
  • 단점: 양이 많거나 서식이 복잡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서식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문서 편집기 활용(제한적)

일부 온라인 편집기가 HWP 파일 업로드를 지원하기는 하지만, 여러 파일을 동시에 열어 내용을 복사/붙여넣는 방식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합치기 기능이 바로 제공되지는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Google Docs: HWP 파일을 업로드해 편집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 뒤, 다른 문서와 합치는 작업은 가능하지만 완전한 파일 합치기 도구는 아닙니다.
  • Microsoft Word Online: HWP 파일을 Word 형식으로 변환해 편집할 수 있지만, 여러 파일을 한 문서로 합치는 기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추천할까요?

가장 깔끔하고 안정적인 방법은 PDF 변환 후 합치기입니다. 경험적으로도 이 방식이 서식 손실 여부를 가장 예측하기 쉽고, 도구의 호환성도 넓었습니다.

  1. 먼저 한글 파일을 한컴오피스 한글이나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변환 서비스로 PDF로 변환합니다.
  2. 그다음 변환된 PDF를 Smallpdf, iLovePDF, Adobe Acrobat Online 등의 PDF 합치기 도구로 병합합니다.

만약 문서 양이 적고 서식이 비교적 간단하다면 텍스트 복사 & 붙여넣기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보안: 민감한 내용이 담긴 문서는 온라인 서버에 업로드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가능한 경우 로컬에서 처리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만 이용하세요.
  • 서식 유지: HWP 파일은 고유한 서식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PDF로 변환할 때 서식이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합친 결과물을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서비스 요금: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는 무료 버전에 용량이나 파일 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유료 옵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