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했던 순간, 친구의 이사 서류를 준비하다 막막했던 제 경험이 떠올랐습니다.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는 정보를 들었지만 처음에는 어디서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절차가 필요한지 몰라 망설였습니다. 그러나 천천히 하나씩 확인해 보니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했고, 무엇보다 본인에게 가장 편리한 경로를 고르면 되었습니다. 이 글은 저의 경험과 확인 내용을 바탕으로, 발급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발급처
가족관계증명서는 전국 어디서든 발급이 가능하며, 크게 온라인 발급과 방문 발급의 두 가지 경로가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은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이용합니다.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발급 가능하고, 수수료도 비교적 저렴합니다.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온라인 발급)으로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
구청, 시청, 군청 등 관공서를 방문해 발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민원실에서 신청하면 되며, 주민등록등본 발급과 유사한 절차를 밟게 됩니다.
일부 지역의 주민센터에서도 발급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전에 해당 주민센터에 문의해 정확한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수료
온라인 발급의 경우 건당 1,000원으로 안내됩니다(전자결제 수수료 포함).
구청·시청·군청 및 주민센터를 통한 방문 발급도 건당 1,000원으로 동일합니다.
참고 사항
본인 확인은 발급 시 필요합니다. 온라인 발급 시에는 공인인증서가, 방문 발급 시에는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을 지참하면 대리 발급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발급처에 정확한 절차를 문의하시길 권합니다.
발급 대상은 본인, 배우자, 직계혈족(부모, 자녀)까지이며, 형제자매의 경우에는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인터넷 발급 시 주의사항으로는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발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관계등록부 시스템은 24시간 운영되지만, 점검이나 서버 점검으로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르고 편리한 방법은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온라인 발급이 어려울 경우에는 가까운 구청이나 시청, 군청을 방문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