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문서 작업을 해오며 파일 간 변환의 품질 차이를 직접 체감해 왔다. 한글 파일(.hwp)을 워드 파일(.docx)로 옮길 때도 방법에 따라 결과물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아래 내용은 대표적인 방법과 주의점을 정리한 것이다.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한 직접 변환
가장 안정적이고 품질이 잘 유지되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한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 경로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변환하려는 .hwp 파일을 연다.
- 메뉴에서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한다.
- 저장 형식에서 “Microsoft Word 문서 (*.docx)”를 선택한다.
- 저장 위치와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 저장한다.
설정 측면에서는 호환성이 가장 안정적이고, 서식은 문서에 따라 워드에서 약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한글 글꼴이 워드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글꼴이 대체될 수 있어 변환 후 글꼴 재설정이 필요하다.
한글 프로그램의 불러오기 기능 활용 (덜 권장)
워드에서 직접 한글 파일을 열어보는 방법으로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변환 품질이 떨어지거나 서식이 많이 깨질 수 있어 권장하지 않는 편이다.
- Microsoft Word를 실행한다.
- [파일] > [열기]를 선택한다.
- .hwp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한다.
- 파일 변환 창이 나타나면 확인을 눌러 변환을 진행한다.
변환 창에서는 변환 과정이 진행되지만, 표나 그림, 레이아웃이 의도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텍스트 중심으로만 불러와질 수 있다.
온라인 변환 서비스 활용
한글 프로그램이 없거나 간단하게 변환해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민감한 정보나 기업 기밀은 업로드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원하는 온라인 변환 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 .hwp 파일을 업로드한다.
- 출력 형식을 “.docx”로 선택한다.
- 변환을 시작하고 완료되면 다운로드한다.
설정은 서비스마다 다르며, 품질은 대체로 한글 프로그램 자체 변환보다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업로드와 다운로드 과정에서 보안 이슈가 생길 수 있으니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인지 먼저 확인한다.
PDF로 변환 후 워드에서 열기 (간접적인 방법)
.hwp 파일을 먼저 PDF로 변환한 뒤 워드에서 열어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서식은 일부 유지될 수 있지만, 워드에서 PDF를 다시 편집 가능한 문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hwp 파일을 PDF로 변환한다.
- Microsoft Word를 실행하고 [파일] > [열기]를 선택한다.
- 워드가 PDF 내용을 편집 가능한 텍스트로 변환하려는 시도가 보일 수 있는데, 이때 나타나는 안내를 따라 변환을 진행한다.
이 방법은 간접적이므로 복잡한 표나 수식, 그림 배치가 많을 경우 변환 품질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요?
상황별 일반적인 권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가장 높은 품질의 변환을 원하면 한글 프로그램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 기능을 우선 사용한다.
- 한글 프로그램이 없고 간단한 문서라면 온라인 변환 서비스를 이용해볼 수 있다.
- 워드에서 바로 열어보고 싶지만 품질이 불안정하다면 덜 권장하는 방법으로 시도해볼 수 있다.
- 특수한 상황에서 PDF로 변환 후 워드로 열어보는 방식도 고려한다.
팁
- 변환 후에는 반드시 결과물을 자세히 확인한다. 서식, 글꼴, 표, 그림, 수식 등이 의도대로 반영되었는지 점검하고 필요하면 수정한다.
- 원본 파일은 변환 작업 전에 반드시 보존해 두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상황에 맞춰 여러 방법을 조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변환 품질은 문서의 구성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먼저 원본과 목표 형식을 비교해 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변환 작업이 끝나면 반드시 한 번 더 문서를 열어 품질을 확인하고, 필요한 수정은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